성폭력 피해 10년 지나도 후유증 진단 땐 손배 인정

[ 의정부지법 :2019-11-11 ]

체육계 미투 1호 전 테니스 선수

사건 10년 넘어 외상후스트레스

법원, 사건일 아닌 진단일 첫 적용

후유증 진단 시점부터 소멸시효 계산

 

성폭력 범죄를 겪은 피해자가 손해배상 청구 시한인 10년이 지났더라도 정신적 피해를 비롯한 후유증에 대해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아동 성폭력 피해자 등은 통상적으로 상당한 시간이 흐른 뒤에야 정신적 피해 등을 호소하는데, 그동안 법원은 소멸시효가 지났다는 이유로 손해배상 청구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번 판결은 성폭력에 따른 후유증의 경우 피해 진단을 받은 시점부터 손해배상 소멸시효를 계산해야 한다는 취지다.

 

의정부지법 민사1(재판장 조규설)11체육계 미투 1로 알려진 전 테니스 선수 김은희(28)씨가 20017월부터 20028월까지 초등학생이던 자신을 성폭행한 테니스 코치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 항소심에서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는 외상후 스트레스를 처음 진단받은 20166월 현실화됐으므로 마지막 범행 시기인 2002년으로부터 10년이 지나 손해배상 청구권이 소멸했다는 (피고 쪽) 주장은 이유 없다며 위자료 1억원을 지급하라고 원고 승소 판결을 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2016년 우연히 테니스 코치를 마주친 뒤 성폭력 피해 기억이 떠오르는 충격을 받아 3일 동안의 기억을 잃는 등 일상생활을 할 수 없게 됐다. 이후 김씨는 201667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진단을 받았고, 20186월 테니스 코치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사건의 최대 쟁점은 불법행위를 한 날을 언제로 보느냐였다. 민법 766조에 따르면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단기)이 지나거나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10(장기)이 지나면손해배상 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테니스 코치 쪽은 마지막 성폭력 범죄일이 20028월이므로 손해배상 청구 소멸시효가 지났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피고의 불법행위로 인한 원고의 손해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원고가 최초 외상후 스트레스 진단을 받은 201667일에 그 관념적이고 부동적인 상태에서 잠재하고 있던 손해가 현실화되었다고 보아야 하고, 이는 원고의 손해배상채권의 장기소멸시효의 기산일이 된다며 피고 쪽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장기소멸시효 기산점인 불법행위를 한 날이란 객관적·구체적 손해가 발생한 때, 손해 발생이 현실화된 때를 의미한다가해행위와 (후유증 같은) 손해 발생 사이에 시차가 있다면, 잠재하고 있던 손해가 현실화되었다고 볼 수 있는 때로 보아야 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김씨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을 받은 20166월을 소멸시효 시작점으로 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