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집 수리비


아파트 전세를 6년 주었습니다. 2015년 2월이 만기였구요.

2013년 11월쯤 보일러 수리건으로 전화통화중 그동안 수리한건이 있다는 얘기를 첨 들었습니다.

사전에 주인인 저에게 한마디 상의도 없이 세입자 맘대로 수리한후 영수증을 보관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전세계약 만료후 집상태를 보니 싱크대상판이며 화장실 타일변색등 정말 집을 함부러 쓴걸 알게됐지만

세입자한테 원상복구 하라고는 안했습니다 대신 수리비도 주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런데 세입자는 지금도 수리비를 달라고 요구하는데 주인에게 미리 얘기도 안하고 수리한걸 주인이 주어야 하는게 맞는지요?

수리비 내역은 이러합니다

인터폰 수리비, 주방씽크대 수전교체, 화장실 변기 물탱크 부속교체, 보일러 구동기교체, 안방등 안전기 교체, 현관번호키 교체

앞베란다 수도분사기 교체, 안방문 손잡이 교체(같은 제품도 아닌 싸구려 손잡이)

이 모든 수리가 아파트가 노후되어 교체한거라고 얘기 합니다. 아파트는 지은지 11년쯤 되었습니다.

사전에 미리 통보를 안해서 저희는 노후된건지 세입자 사용부주의로 발생한 문제인지 전혀 알수가 없는 상태입니다.

수리비를 주는게 맞는건지 안줘도 되는건지 알고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