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갱신청구권 사용시 임대기간 문의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성 별 : 남자
연령대 : 40대
전세 갱신청구권을 사용으로 5% 상향한 금액으로 계약을 다시 하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보통 세입자가 나가고 새로운 세입자가 들어오는 경우는
이전전 세입자의 임대 만료일 = 신규 세입자의 임대 시작일 로 작성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동일한 날짜에 오전에 이사나가고 바로 신규 세입자가 들오기 위해서요.
다만 지금 상황은 갱신청구권으로 2년이 연장되는 상황 + 계약서 재작성입니다.
이때 2년 갱신상황의 임대시작일에 초입불산일을 적용하는게 맞는지 문의드립니다.
ex) 2019.02.01 ~ 2021.01.31 이 전세기간이고 갱신청구권 사용 및 5%증액으로 계약서 재작성 되는 상황이라면
1) 2021.01.31 ~ 2023.01.30 이 임대기간
2) 2021.02.01 ~ 2023.01.31 이 임대기간
두개 중에 어떤것이 맞는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일반적으로 보통 세입자가 나가고 새로운 세입자가 들어오는 경우는
이전전 세입자의 임대 만료일 = 신규 세입자의 임대 시작일 로 작성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동일한 날짜에 오전에 이사나가고 바로 신규 세입자가 들오기 위해서요.
다만 지금 상황은 갱신청구권으로 2년이 연장되는 상황 + 계약서 재작성입니다.
이때 2년 갱신상황의 임대시작일에 초입불산일을 적용하는게 맞는지 문의드립니다.
ex) 2019.02.01 ~ 2021.01.31 이 전세기간이고 갱신청구권 사용 및 5%증액으로 계약서 재작성 되는 상황이라면
1) 2021.01.31 ~ 2023.01.30 이 임대기간
2) 2021.02.01 ~ 2023.01.31 이 임대기간
두개 중에 어떤것이 맞는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상담원님의 댓글
상담원 작성일
올려주신 글 잘 읽어보았습니다.
기존의 임대차 기간이 2019. 2. 1.부터 2021. 1. 31.까지였다면, 갱신되는 임대차 기간은 2021. 2. 1.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더 자세한 상담이나 방문을 희망하시는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대면상담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아래의 연락처를 통해 방문 가능여부를 확인하신 후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저희 기관은 모든 상담이 무료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방에 거주하고 계신다면 가까운 지역에 있는 무료법률상담기관을 안내 해드리겠습니다.
법률구조법인 대한가정법률복지상담원
전화 : 02-2697-0155, 3675-0142,0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