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코올중독 아빠
페이지 정보

본문
성 별 :
연령대 : 대
매일 소주 한병씩 먹어야 잠이 잘 온다는 아빠때문에 그러려니 하고 지낸지 1년째입니다 분노조절장애가있어 욱 하는성질을 못이기고 손지검을 매번 당했었는데요
먼저 저는 부모님 이혼으로 애기때부터 친할머니 손에서 컸습니다
할머니가 허리굽혀 일해 번 목돈으로 바드시 저 키워주실 때 자식이고 뭐고 여자랑 놀아나다 저 14살쯤에 빚투성이에 오갈데없으니 시골로 기어 들어오더군요.
그땐 자주는 아니였지만 술만 먹으면 짜증투성이에 꼭 누구하나 속을 박박긁어놓고 손지검을 해야 잠을 잤었어요
외부에서 스트레스 받은것은 할머니한테 온갖 다 쏟아붓고
심지어 할머니 멱살잡고 패려는 시늉도했었고 전 중학생때 각목으로 패서 멍투성이된적도 많았어요.
현재는 20살이고 그렇게 행복한가정이 뭔지 모른체 꿋꿋이 참고 버텨온 저는, 시골에살아 대학진학하려면 타지역으로 나가야하는 상황이라 대학도 포기하고 집에서 가까운 중경 기업 사무직 입사해서 그나마 할머니 지켜드리고 할머니 옆에서 쓸쓸하지않게 말동무와 때론 위로와 응원도 해드리는데요
오늘 저녁엔 소주한병 다 먹길래
자식 입장으로 좋지않잖아요 좋은기억도없고해서 쌀쌀맞게 대하고 눈도 안마주치려했더니 그게 나름 쌓였었나봐요. 참 저 1년동안 개고생해서 모은 천만원도 상황이 안좋아 모두 노름하는 아빠 줬었거든요
어쨌든 아까 상 뒤집고 할머니 죽으라고 소리 빽빽지르고 폐륜아가 따로없었습니다.
알코올중독으로 강제입원을 시킬까
분노조절장애로 정신병원을 넣을까 고민중에도 병원에선 멀쩡한척 퇴원하거나 성격이 매우 약아서 혹시 탈출하면 백프로 우리 죽일텐데 걱정도되고
너무 힘듭니다. 할머니한테 객지나가 둘이 살자고하니 할머닌 고향두고 떠나기 매우 곤란하다 하시네요.
저 어떻게살아야하나요 죽고싶은 심정입니다 정말.
너무 답답해서 끄적이다보니 두서없는 글이됐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려요..
댓글목록

대한가정법률복지상담원님의 댓글
대한가정법률복지상담원 작성일
작성하신 글 잘 읽어보았습니다.
알콜중독에 빠진 아버지의 가정폭력을 이 날까지 참아오느라 많이 힘드셨으리라 생각합니다. 폭력이 지속되면 법적인 조치가 불가피하리라 생각하지만 법적조치는 최후의 수단입니다. 귀하의 글을 보건대 술을 마셨을 때 아버지의 폭력성이 심해지는 것으로 보이고, 이는 알콜중독 증상의 하나일 수 있습니다. 알콜중독은 정신 질환의 하나로써 정신의학적 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인근의 정신건강증진센터나 알콜중독상담센터에 문의하여 아버지의 알콜중독에 대하여 상담해보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아버지의 가정폭력이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는 심각한 수준에 달할 경우 즉시 경찰에 신고나 고소를 하시기 바랍니다. 경찰은 즉시 출동하여 폭력을 제지, 중단시키고 수사를 개시하며 피해자의 동의가 있으면 가정폭력 상담소나 보호시설에 인도하고 긴급치료가 필요한 경우 의료기관에 데려다 줄 수 있습니다. 3년 이내에 가정폭력 범죄를 2회 이상 저지른 사람이 재범을 하거나 상습적 또는 흉기 등을 휴대해 심각한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자는 구속수사가 진행됩니다.
그리고 귀하는 법원에 임시조치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임시조치는 ①피해자 또는 가족이 거주하는 주거 또는 방으로 부터의 퇴거 등 격리, ②피해자의 집 또는 직장 등으로부터 100미터 이내 접근금지, ③의료기관 기타 요양소에의 위탁, 경찰서 유치장 또는 구치소에 유치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임시조치 후에 해당 사항을 한 번이라도 위반한 가해자는 유치장, 구치소에 강제 유치됩니다.
적극적인 수사와 추후 고소로 이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아버지의 폭력으로 인해 발생한 상해부위를 사진으로 찍어놓고, 병원에서 진단서를 받아두는 등 증거를 확보해놓으시기 바랍니다.
지면상담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더 자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본원의 면접상담을 오시기를 권유 드립니다. 지방에 거주하고 계신다면 가까운 지역에 있는 무료법률상담기관을 안내 해드리겠습니다.
대한가정법률복지상담원은 지하철 2호선 지선 신정네거리역 3번 출구로 나와, 남부지방법원방향으로 5분 정도 걸으시면 삼성디지털플라자를 지나 온누리태평양약국 건물 3층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상담접수시간은 평일 오전 10시-오후 4시, 토요일 10시-12시입니다.
법률구조법인 대한가정법률복지상담원
전화 : 02-2697-0155, 3675-0142,0143